스프링 개발 환경 구축 01 개발을 위한 준비 1.2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백엔드/Spring 책 핵심정리2021. 7. 8. 18:20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방식
1) 처음부터 스프링 프로젝트를 지정하고 생성
2) Maven이나 Gradle 프로젝트를 생성후 프레임워크 추가
3) 직접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를 추가
■ 프로젝트 최초 생성시 필요한 코드와 라이브러리를 다운하게 되는데, 사용자 폴더 내 '.m2' 폴더의 repository 폴더에 다운로드 파일이 추가된다. ( 프로젝트 생성시 에러 발생 경우, repository 폴더 내용물을 삭제한다.)
■ 스프링 버전 변경
Spring Legacy Project 로 프로젝트를 만들면 최초 스프링버전은 3.x 이고, jdk 는 1.6으로 기본세팅되어있다.
프로젝트 라이브러리는 pom.xml 파일을 통해서 수정한다.
(스프링 버전확인은 인터넷에 maven spring을 검색해서 maven Repository 에서 확인)
pom.xml을 열어, 3.11 부분을 5.0.7로 수정한다. 프로젝트의 Maven Dependecies에 라이브러리 변경 확인 한다.
■ Java version 변경
jdk 1.6에서 jdk 1.8 로 변경하려면 pom.xml의 <plugin> 태그 중 maven-compiler-plugin 내용을 1.6에서 1.8로 수정한다.
다음, 프로젝트 오른쪽마우스 클릭 > Maven >Update Project 실행
'백엔드 > Spring 책 핵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개발 환경 구축 02 스프링의 특징과 의존성 주입 2.1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간략한 역사 (0) | 2021.07.13 |
---|---|
스프링 개발 환경 구축 01 개발을 위한 준비 1.5 Java Configuration을 하는 경우 (0) | 2021.07.08 |
스프링 개발 환경 구축 01 개발을 위한 준비 1.4 Lombok 라이브러리 설치 (0) | 2021.07.08 |
스프링 개발 환경 구축 01 개발을 위한 준비 1.3 Tomcat을 이용한 프로젝트 실행 확인 (0) | 2021.07.08 |
스프링 개발 환경 구축 01 개발을 위한 준비 1.1 개발 환경설정 (0) | 2021.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