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문제(단답형) 12

정보처리기사/실기|2021. 4. 6. 23:52
Document

1.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 감쇄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에서 데이터를 증폭시켜 더 강한 신호로 만들어 주는 장비

리피터

2. OSI 2 계층 장비로서,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출발지에 들어온 데이터 프레임을 목적지 MAC 주소 기반으로 빠르게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3.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가장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장치로 Data Link 계층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

NIC
(Network Interface Card)

4. 네트워크 간 연결에 사용되는 최적의 전송 경로를 찾아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터네트워킹 장비

라우터

5. 일반적으로 프로토콜을 달리하는 두 개의 이종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치의 총칭

게이트웨이

6. 프로토콜의 특징으로 전송이 가능한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지는 기법

단편화

7. 단편화되어 온 조각들을 원래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법

재조립

8. 송신과 수신 측의 시점을 맞추는 기법

동기화

9.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기기들이 접속할 수 있는 기술

다중화

10. 전송 계층에 위치하면서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트라넷,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옥텟을 안정적이고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해주고, 스트림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TCP

11. 1980년 데이빗 리드가 설계하고 현재 IETF의 RFC 768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비연결성이고, 신뢰성이 없으며,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UDP

12.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의 방식 중 하나로 작은 블록의 패킷으로 잘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통신 방식으로, 회선 등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정상적인 경로를 선택해서 우회가능하며 종류로는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이 있음

패킷 스위칭
(패킷 교환 방식)

13. 광대역 서비스의 다양한 특성을 수용하기 위한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실현을 목적으로 제안되었으며 회선교환 방식과 패킷교환 방식의 장점을 통합시킨 연결지향적 속성을 지닌 패킷교환 프로토콜

ATM
(비동기 전송 모드)

14. 통신을 원하는 두 지점을 교환기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속시키는 방식으로, 기존의 음성 전화망이 대표적이며 네트워크 자원을 특정 사용층이 독접하도록 하는 통신 방식

서킷 스위칭
(회선 교환 방식)

15. 외부 인터넷망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트라넷망만을 활용하여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방식 (On-Premise: 사내, 직접 설치)

온프레미스 방식
(On-Premise)

16. 이용자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캐시서버를 통하여 컨텐츠를 배포함으로써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CDN

17. 조직의 최종 사용자인 고객과 잘 정리된 릴리즈 정보를 공유하는 문서

릴리즈 노트

18. 릴리즈 노트 작성 항목 중 버그의 간단한 설명 또는 릴리즈 추가 항목 요약

이슈 요약

19. 릴리즈 노트 작성 항목 중 버전 변경에 따른 최종 사용자 기준의 기능 및 응용 프로그램상의 영향도 기술

사용자 영향도

20. 릴리즈 노트 작성 항목 중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설치 항목, 제품, 문서를 포함한 업그레이드 항목 메모

노트

댓글()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