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03 변수의 선언과 저장
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RAM)
변수의 선언 이유
값(data)를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변수의 선언 방법
변수타입 변수이름 ;
ex)
int age ; // 정수(int) 타입의 변수 age 를 선언
변수에 값 저장하기
'=' 대입연산자는 등호가 아니라 대입이다.
ex)
int age ; // 정수(int) 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age = 25 ; // 변수 age에 25를 저장
int age = 25 ; // 위의 두 줄을 한 줄로
변수의 초기화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ex)
int x = 0 ; // 변수 x를 선언 후, 0으로 초기화
int y = 5 ; // 변수 y를 선언 후, 5로 초기화
int x = 0 , y = 5 ; // 한 줄로도 가능하다
메모리는 여러 프로그램에 공유하는 자원이기 때문에 사용하기전에 새로운 값을 저장함으로써,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알수 없는 값을 지우는 것이 '초기화' 이다.
변수의 종류에는 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 지역 변수가 있다.
지역변수는 다른 변수와 달리 0으로 초기화 되지 않아, 읽기전에 반드시 초기화 해야한다. (컴파일 에러 발생)
변수의 값 읽어오기
변수의 값이 필요한 곳에 변수의 이름을 적는다.
ex)
int year = 0, age = 14;
year = age + 2000 ; // year = 14 + 2000 ; 이므로 year = 2014; 이다.
age = age + 1 ; // age = age + 1; 이므로 age = 15; 이다.
System.out.println(age) ; // System.out.println(15); 이므로 15가 화면에 출력된다.
'자바 > 2. 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06 리터럴의 타입과 접미사 (2) | 2021.03.26 |
---|---|
Java 05 변수, 상수, 리터럴 (0) | 2021.03.26 |
Java 04 변수의 타입 (0) | 2021.03.26 |
Java 02 덧셈 뺄셈 계산하기 (0) | 2021.03.26 |
Java 01 화면에 글자 출력하기 - print()과 println() (0) | 2021.03.26 |